데브코스 프론트엔드 5기/VanillaJS를 통한 자바스크립트 기본 역량 강화 1

231012[Day18] VanillaJS를 통한 자바스크립트 기본 역량 강화 1 (7)

코딩하는 키티 2023. 10. 13. 00:00

 

history API

: 브라우저의 세션 기록을 조작할 수 있는 메소드를 담고 있는 객체

  •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로딩을 하면, 세션 히스토리를 가짐
  • 세션 히스토리는 페이지 이동할 때마다 쌓이게 되고, 이를 통해 뒤로가기 시 이전 페이지로 가거나 뒤로 간 이후 다시 앞으로 가는 등의 이동이 가능함
  • pushState, replaceState 의 함수로 화면 이동 없이 현재 url를 업데이트 할 수 있음 
    • pushState : 세션 히스토리에 새 url 상태를 쌓는다.
    • replaceState : 세션 히스토리에 새 url 상태를 쌓지 않고, 현재 url을 대체한다.

=> 이러한 특성으로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(SPA) 가 가능해진다.

 

  • hashbang url 형식에서 벗어날 수 있다.
    • / => HomePage
    • /list => ListPage
    • /detail => DetailPage

 

  • 일반 url형식을 따르기 때문에 쿼리스트링도 자유롭게 붙일 수 있다.
    • ex) /list?page=2&limit=10

 

* hashbang이란 ?

: 말그대로 해시(#)와 뱅(!)이 합쳐진 단어로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(SPA)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

ex) http://aeunHi.com/#home

 

 

주요 메서드

  • history.pushState(state, title, url) : 세션 히스토리에 url 상태를 쌓음 (화면의 이동없이 url을 바꿀 수 있음)
    • state : history.state에서 꺼내쓸 수 있는 값
    • title : 변경될 페이지의 title을 가리키는 값인 것 같지만 거의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다.
      • 빈 string을 넣으면 된다.
    • url : 세션 히스토리에 새로 넣을 url
      • a태그를 클릭하거나 location.href로 url을 변경하는 것과는 다르게 이 url이 변경된다고 해서 화면이 리로드 되지 않는다.

 

  • history.replaceState(state, title, url) : 세션 히스토리에 새 url를 쌓지 않고 현재 url를 대체한다 (뒤로가기 막아야 하는 경우 등)
history.pushState(state, title, url)
history.replaceState(state, title, url)

 

⭐️ location.href(url) 은 url 이동시 새로고침 되면서 이전 history가 날아간다.

hitory api로 url를 변경한 후 새로고침 하면 변경된 url의 실제 파일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(없으면) 404에러남

404에러시(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 이동) 루트페이지로 돌아가게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.(안되면 해시뱅써야함)

 

SPA 구현

<body>
  <div class="container"></div>
  <a class="linkItem" href="/product-list">product list</a>
  <a class="linkItem" href="/article-list">article list</a>
  <script>
    window.addEventListener('click', (e) =>{
      function route() {
        const { pathname } = location;
        const container = document.querySelector(".container");
        if(pathname === "/") container.innerHTML = `<h1>Home</h1>`;
        if(pathname === "/product-list") container.innerHTML = `<h1>상품목록</h1>`;
        if(pathname === "/article-list") container.innerHTML = `<h1>게시글목록</h1>`;
      }
      
      route();

      if(e.target.className === 'linkItem'){
        e.preventDefault();
        const { href } = e.target;
        const path = href.replace(window.location.origin, '');
        history.pushState(null, null, path);
        route(); // 클릭 시에만 내용이 바뀐다 
      }

      // 뒤로가기, 앞으로 가기 시에도 내용이 변경될 수 있게함
      window.addEventListener("popstate" , () => route());
    })

  </script>
</body>

 

 

url routing 처리하기

-url path별 화면을 각 페이지 컴포넌트로 정의

-route 함수 :

<path에 따라 페이지 컴포넌트 렌더링

location.pathname으로 현재 path 얻어오기>

-url이 변경되는 경우, route 함수 호출

 

컴포넌트 구조

  •  App -> HomePage / ProductPage -> ProductOptions , Cart

 

정리

  • ⭐️history api를 이용하면 화면 이동을 일으키지 않고도 브라우저 url을 바꿀 수 있다.
  • hitory api로 url를 변경한 후 새로고침 하면 변경된 url의 실제 파일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(없으면) 404에러가 난다.
  • 404 에러가 났을 경우 root의 index.html로 요청을 돌려주는 처리가 필요하다.